🙆 찬성팀 “청년 중심 기후 변화 대응은 평등권을 침해하는거야.”
1. 고령층도 기후변화의 피해자야!
기후변화 취약성이 높은 고령층 또한 상당한 피해를 입고 있어요. 고령층일수록 열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지고, 경제적 제약과 사회적 고립 등의 이유로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및 생활상의 위험에 더 크게 노출돼요.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청년 중심으로 기후변화 정책을 꾸려가는 것은 오히려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어요.
2. 편향된 정책이 만들어질 위험이 있어!
특정 계층이나 집단이 중심이 되어 정책을 결정하면 편향된 정책이 수립될 수 있어요. 정책이 사회 전반에 걸쳐 포용성과 공정성을 가질려면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전 세대의 의견이 반영된 정책 결정 과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에요.
3. 전문성을 갖추었는지 의문이야!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문제인 기후변화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해결책을 도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전문성이 요구되어요. 젊은 세대는 기후 변화에 대한 열정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지만, 경험과 전문성이 부족해 실질적이고 복잡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에요.
🙅 반대팀 “청년 중심 기후 변화 대응은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아.”
1. 청년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어!
기존 정책결정 과정에 청년들이 충분히 참여하지 못하였다는 지적이 나와요. 최근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youth summit과 같은 청년 리더 활동들이 이러한 기존 의사결정에서의 불균형을 바로잡고, 보다 다양한 시각과 해결책을 수렴하는 포용적 접근을 취하기 위한 노력이에요.
2. 미래세대가 가장 큰 영향을 받아!
기후 변화로 인해 장기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을 집단인 청년들의 권리를 보호하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어요. 단순히 특정 세대를 우대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오래 기후 변화를 경험하게 될 집단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은 공정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보아요.
3. 청년 세대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어!
청년 세대는 창의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요. 청년의 참여를 더욱 활성화시키면 기존의 해결책에서 벗어나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거라는 기대가 있답니다. 또한, 젊은 세대는 디지털 이용이 일상적이어서 글로벌 차원에서의 협력과 연대를 이끌어내어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 패러다임을 형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어요.
👂 소근소근 ! 혹시 더 알고 싶으신가요?
UNCK의 SNS에 방문해서 카드뉴스로 정리된 원 기사와 토론 내용을 찾아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