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CK 뉴스 레터에서만 접할 수 있는 최신 국제 이슈 소식! 오늘은 웅크와 함께 #세계 식량의 날 #생물다양성 #코카콜라 #가자지구 #슈퍼버그에 대해 알아보아요!
🫂1. People
🌏오늘의 첫 번째 키워드: 세계 식량의 날
여러분은 지난 10월 16일에 어떠한 하루를 보내셨나요? 내년 10월 16일에는 세계 식량의 날을 함께 기념해보아요😊
사진 출처: FAO 한국협회
세계 식량의 날은 1945년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UN-FAO)가 창설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정된 날로 식량안보,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한 농업개발협력 노력 촉진 등을 목표로 매년 10월 16일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고 있어요.
올해는 ‘더 나은 삶과 미래를 위한 식량권’을 주제로 다양한 캠페인이 진행되었는데요! 기아 마라톤, 세계 식량의 날 포스터 대회, 지역 빈민층 무료 급식 등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식량권의 중요성을 널리 알렸어요. 지구의 모든 사람들이 식량권을 보장받아 건강한 식이를 할 수 있는 그날을 위해 우리도 각자의 위치에서 노력해보면 어떨까요?
🌐2. Planet
🌏오늘의 두 번째 키워드: 생물다양성
Q) 생태계 다양성을 다루는 전세계에서 가장 큰 행사는?
.
.
바로 현재 콜롬비아 칼리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 생물다양성협약당사국총회!
2022년 캐나다에서 진행되었던 COP15 이후 2년 만에 열리는 이번 총회는 생태계 및 관련 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전세계적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행사에요. 특히 이번 총회는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가 채택된 후 처음 열리는 당사국총회인만큼, GBF의 이행 방안에 대하여 깊이 있는 논의가 예상되었어요! 현재 각 국가들은 이 프레임워크에 맞추어 어떠한 구체적인 정책 및 계획을 이루어왔고 실행할 것인지 이야기하고 있어요. 아직 총회가 끝나지 않은 만큼, 이번 총회가 어떠한 결과로 이어질지 같이 지켜보아요😊
😄3. Prosperity
🌏오늘의 세 번째 키워드: 코카콜라
플라스틱의 환경오염이 나날이 심해지는 가운데 코카콜라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사회투자와 함께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였어요! 바로 대한민국 혁신 순환경제 기업 단기 무이자 융자사업, ‘임팩트퓨처- Circular Innovation 2024’인데요.
순환경제? 무이자 융자사업??
순환경제란 자원의 소모와 폐기를 최소화하고, 이를 유용한 자원으로 반복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친환경 경제 모델이에요. 글로벌 코카콜라 재단과 한국사회투자는 이 순환경제의 대상으로 페트병(PET)에 주목을 하였는데요. 이번 사업을 통해 투명 음료 페트병을 다시 새로운 음료 페트병으로 만드는 자원순환 방식을 확대해나가고자 해요! 이를 위해 현재 이러한 혁신 기술을 갖춘 기업들에게 총 4억원 규모의 무이자 융자사업을 지원하여 순환경제를 이끌어가고 있어요.
이는 기업이 단순히 수익 창출을 위해서가 아닌 ESG에 따라 경영을 하는 아주 좋은 예시이며 이번 사업을 통해 한국에서 자원 재사용을 위한 친환경 기술이 발전될 것으로 기대되어요!
🕊️4. Peace
🌏오늘의 네 번째 키워드: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이스라엘에 의한 공습이 계속되고 있어요. 이로 인해 가자지구의 수십만 명이 친구와 가족을 잃고 생존권을 적절히 보장받지 못하고 있는데요. 이스라엘이 군사 시설 뿐만 아니라 병원이나 학교 등 사람들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곳까지 공격해나가면서 아동과 노약자와 같이 사회적 취약계층은 특히 더 큰 위험 속에 생활해나가고 있어요. 지난 26일 이스라엘이 레바논에 이어 이란까지 보복 공격을 단행해나가며 전쟁의 끝이 희미해졌기에 국제사회의 지원이 더욱 절실해진 상황이에요.
사진 출처: UN Women/Samar Abu Elouf
👫5. Partnership
🌏오늘의 다섯 번째 키워드: 슈퍼버그(superbug)
우리 인간들도 약을 너무 자주 먹으면 내성이 생겨 약효가 줄어들잖아요! 미생물들도 마찬가지에요. 이렇게 항생제의 남용으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미생물을 ‘슈퍼버그’라고 불러요.
내성을 가진 게 뭐?? 그게 뭐 어쨌다고??
미생물이 내성을 가지게 되면 내성균에 의한 감염이 확대되어 수술과 같은 의학적 조치가 힘들어져요. 이에 매년 70만 명 이상이나 항생제 내성균 감염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사망하고 있어요. 일각에서는 코로나보다 더 무시무시한 팬데믹을 야기할 것이라고도 말을 해요😭
이에 맞서기 위해 지난 9월 유엔총회 고위급회의에서 전세계 국가들이 뜻을 모았어요! 항생제 내성 관련 정치 선언문을 발표한 것인데요. 이러한 세계적 합의를 바탕으로 모든 국가들은 2030년까지 박테리아 AMR(항생제 내성)로 인한 사망자 수를 10% 줄이는 것을 목표로 많은 세부 계획을 진행하게 되어요. 인간의 항생제 소비를 줄이고 환경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 그 예이죠! 이렇듯 하나의 전지구적 과제를 위해 전세계 국가들이 협력하였다는 점에서 Partnership이 실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어요.
🌏6. 편집자의 한마디!
📢 뉴스레터 편집자의 Talk, Talk, Talk !
21세기에는 세계화로 인해 한 나라만이 해결할 수 없는 전지구적 문제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번 뉴스레터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국가들이 함께 모여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한 번 더 실감하게 되었어요. 또한 이제는 단지 국가 뿐만이 아니라 기업들도 나서서 우리가 살고 있는 환경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노력이 굉장히 인상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