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8일은 유네스코가 제정한 ‘세계 문해의 날(International Literacy Day) 📖’이에요. 개인과 공동체, 사회에서 문맹 퇴치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5년부터 매년 기념되고 있어요. 인간의 삶에서 읽고 이해하며 쓰는 능력은 알 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보장받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매우 중요해요. 그러나 코로나19로 아동과 청소년의 학습 위기가 더욱 심각해졌어요. 유네스코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7억 7,300만 명이 문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해요. 이번 웅크 뉴스레터에서는 갈등과 위기 상황에서 양질의 교육을 지원하고 있는 ECW와 ‘양질의 교육’이란 무엇인지 살펴보며, 어떠한 아동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 제공의 중요성에 대해 함께 고민해보아요! |
|
|
🌏 2. 오늘의 키워드 :
Investment in quality education
질 높은 교육에 대한 투자
✍️OECD에서는 문해력을 미래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 갖추어야 할 기초적인 역량으로 강조하였어요. 그런데 분쟁의 장기화, 만성 빈곤, 기후 변화로 인해 지속되고 있는 장기적인 위기 상황과 자연재해, 전쟁, 유행병, 강제이주로 예상치 못하게 발생한 긴급 상황에서 상당 수의 아동과 청소년이 양질의 교육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답니다.
😔UN은 교육이 중단되는 위기에 처한 아동과 청소년에게 질 높은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은 기다릴 수 없다.(Education Cannot Wait, ECW)’ 국제기금을 설립하여 2017년부터 운영하고 있어요. 2023년 ECW의 발표에 따르면 위기에 처한 2억 2,400만 명의 아동이 양질의 교육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고 해요. 이 중에서 불과 11%만이 학교에 다니며, 읽기과 수학에서 최소의 기준만을 충족하였어요. 하지만 11%의 아이들 또한 학교 급식, 정신건강 및 심리사회적 서비스, 적절한 물과 위생 시설 등의 기초적인 복지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고 있답니다.
🏫ECW는 위기 속에서도 어린이와 청소년이 안전하게 학습하여 성장하고,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러 파트너들과 함께 다각적인 지원을 하고 있어요. 2023년 한 해 동안 560만 명의 어린이가 ECW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현재까지 1,100만 명의 아동에게 교육을 제공하였어요. 이 외에도 335,000명의 아동과 청소년이 학교 급식을 제공받게 되었고, 13,000개의 교실이 건설되었으며, 11,500명의 장애가 있는 학생이 보조 장치와 학습 보조 도구를 지원받았어요.
🪙교육의 질 개선에서 많은 성과가 있었지만, 한 가지 문제가 남아 있다고 해요. 위기에 처한 아동과 청소년에게 필요한 교육 자금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ECW가 확보한 재원은 2022년 기준 필요한 자금의 3분의 1에 불과해요. ECW는 교육 재원 마련에도 힘쓰고 있답니다. |
|
|
🌏 3. UN Chronicle 기사로 키워드 알아보기.
📢 국제이슈의 키워드를 영어로, 그리고 번역한 한국어로!
국제이슈 키워드를 UN의 디지털 잡지인 UN Chronicle에서 찾아 번역하여 소개해드려요.
웅크가 뽑은 키워드를 영어 기사 원문과 번역문을 통해 알아보아요!
✍️ 영어 기사 원문 단락
As the world commemorates International Literacy Day (8 September), we must ensure that girls and boys impacted by armed conflict, climate-induced disasters and forced displacement are not left behind, but rather placed at the forefront for an inclusive and continued quality education.
…
Where learning takes place, nations grow stronger. When a child can read and write, the odds for a better life rise dramatically. When a child attends school and benefits from a holistic, child-centred, quality education, he or she deploys a forceful power of resilience to learn, develop, achieve and build a better world. Today, we cannot afford to make the wrong choices and lose this opportunity. The crossroad has only one viable path forward: investment in quality education.
✍️ 기사 단락 번역문
국제 문해의 날(9월 8일)을 기념하며, 무력 분쟁, 기후로 인한 재해, 그리고 강제 이주로 인해 영향을 받는 소년과 소녀들이 소외되지 않고, 포용적이고 지속적인 양질의 교육을 가장 먼저 보장해야 한다.
…
배움이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국가가 더욱 강해진다. 어린이가 읽고 쓸 수 있을 때, 더 나은 삶을 살 확률은 극적으로 높아진다. 어린이가 학교에 다니면서 아동 중심의 포괄적이고 양질의 교육을 받을 때, 그 아이들은 강력한 회복력을 발휘하여 배우고, 발전하고, 성취하며 더 나은 세상을 건설하게 된다. 오늘날 우리는 잘못된 선택을 하여 이 기회를 놓칠 여유가 없다.이 갈림길에서 지금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오직 하나, 양질의 교육에 대한 투자뿐이다. |
|
|
🌏 4. 오늘의 키워드에 대해 더 알아보아요!
그렇다면 오늘의 키워드인 질 높은 교육(양질의 교육)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을까요?🤔
ECW는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8가지 세부 교육 부문을 나누어서 아동마다 더 깊이 있는 학습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요.
🏝️원조 현지화(Aid Localisation) : 지역 상황을 가장 잘 이해하는 조직과 현지 활동가와 함께 목적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을 설계해요. 현지화는 인도적 지원과도 밀접한 부문으로 지역 역량을 강화하는 인도적 활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요.
🌡️기후 위기(Climate Crisis) : ECW는 미래 기후 재난에 대비하여 회복력을 구축하도록 투자하고 있답니다. 교사와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재난 대비 및 관리에 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임시 학습 공간 건설과 더불어 학습을 통해 어린이들이 녹색 경제 성장을 이끌고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요.
♿장애포괄적 교육(Disability Inclusion) : ECW는 장애 아동이 전체 수혜자에서 10% 이상을 차지하도록 정책을 수립하였어요. 모든 프로그램에서 장애 아동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장애 아동을 위한 특정 활동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하고, 학교 및 학습 공간을 접근 가능하고 포괄적으로 설계하고 있어요.
🛝유아 교육(Early Childhood Education) : 위기에 처한 어린 아이들은 ‘놀이 기반 유아 교육’을 놓치는 경우가 많아요. ECW는 발달 및 양육 단계에 있는 유아들을 보호하고 상호작용과 놀이를 통해 상상력, 사회성 및 학습 능력, 회복탄력성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어요.
👥강제 이주 아동(Forced Displacement) : 갈등, 일반화된 폭력, 박해, 차별 또는 인권 침해, 자연재해로 인해 삶의 터전에서 강제로 쫓겨난 아동과 청소년들은 종종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교육을 중단하는 경험을 해요. 거주하는 지역 사회의 국가 교육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죠. ECW는 이 아이들을 차별로부터 보호하고, 학대 및 방치를 예방하고 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까지 포괄하는 교육 지원을 하고 있어요.
🚺여성과 소녀의 성평등과 권한 부여(Gender Equality and Empowerment of Women and Girls) : ECW는 긴급 상황과 장기 위기 상황에서 성평등을 자금 지원의 최우선 과제로 삼도록 노력하고 있어요. 교육을 통해 여성과 소녀의 성평등과 역량 강화를 촉진하겠다는 목표를 이행하기 위해 성 대응 투자, 성평등을 위한 정치적 지원 및 자금 지원, 안전한 학교 선언 등을 하고 있어요.
✨전인적 교육(Holistic Education) : 위기에 처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해결하고 학업 성과를 향상시키는 전인적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아동, 청소년의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 성장을 돕고 있어요. 다분야에서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교육 조직 체계와 커리큘럼의 향상, 안전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지원하고 있어요.
🫂정신 건강 및 심리사회적 지원(Mental Health and Psychosocial Support) : 학생과 교사의 정신 건강 및 심리사회적 지원을 해결하여, 건강한 발달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어요. 응급 상황과 더불어 아동과 청소년이 스트레스와 역경에서 대처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기존 보건 네트워크와 협력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어요.
👂 소근소근 ! 혹시 더 알고 싶으신가요?
UN Chronicle의 해당 기사를 읽어보거나, UNCK의 SNS에 방문해서 원 기사와 번역문을 찾아주세요! |
|
|
🌏 5. 번역자의 한마디!
📢 기사 번역자의 Talk, Talk, Talk !
오늘의 키워드가 포함된 기사를 번역한 번역자는 이렇게 생각했어요.
우리나라 대학에서는 교수님들이 전자 교탁과 빔 프로젝터를 활용해 수업을 진행하시고, 많은 학생들이 노트북이나 태블릿으로 필기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어요. 과제를 할 때도 인터넷 검색, AI를 활용한 자료 수집 및 정리가 가능해졌어요.
그러나 한편으로는 여전히 기본적인 교육조차 받기 어려운 환경에 놓인 학생들도 많아요. AI의 보편화로 인해 지식과 기술의 격차는 더욱 심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에너지 불평등과 맞물려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격차를 더욱 확대시킬 우려가 있어요.
1950년대부터 시작된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은 오늘날에도 전 세계의 경제적·사회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어요. AI 시대에 이러한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육 기회와 학습 환경의 질을 개선하려는 전 세계적인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이번 뉴스레터를 준비하면서 더욱 절실히 느꼈어요.
모든 이들이 평등한 기회를 누리고, 양질의 교육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나가면, 더 많은 아이들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을거에요.😊 |
|
|
🌏 6. 바쁘다 바빠 현대인을 위한 [한 줄 요약]
위기 상황에서도 아동과 청소년이 양질의 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UN의 ECW 국제교육기금과 더불어 많은 파트너 기관과 기부자들이 교육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
|
|